안녕하세요. 일본사는 우메슈입니다.
일본에서 일하게 되면 세후연봉이 어떻게 될지 궁금한 분이 많죠?
세전으로는 같은 돈이라도, 보험료, 세금 때문에 세후는 달라지는데요.
이 세후 금액, 실수령액을 일본에서는 테도리(手取り)라고 합니다.
오늘은 이 테도리가 실제로 얼마 정도 될지 알아 보겠습니다!
테도리(手取り)란?
테도리는 연봉에서 각종 세금을 제하고 실제로 받게 되는 금액입니다.
일본에서는 보통 회사에서 교통비, 주택보조비, 야근비 등을 수당으로 지급하는데, 이런 수당은 테도리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저런걸 다 포함하면 한국에서 말하는 "영끌"이되고, 연말에 받는 원천징수표를 기준으로 얘기하게 됩니다.
즉, 아무리 못해도 최소한 이 정도 금액은 받는다~ 라는 돈이죠.
일본의 세금
일본이 보통 한국보다 세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데, 일본에는 어떤 세금이 있는지 정리해봤습니다.
일본에서 급여명세서를 받으면, 다음과 같은 세금이 제해져서 나오게 됩니다.
항목 | 설명 |
건강보험료 健康保険料 |
한국의 의료보험과 같습니다. 참고로 일본은 의료보험이 있는 사람은 전체 진료비의 30%만 지불하게 됩니다. |
개호보험료 介護保険料 |
일본에서는 40세가 넘으면 은퇴하게 되는 64세까지 개호보험료라는걸 추가로 내게 됩니다. 노인이 되면 병원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될테니, 그것에 대한 보험료를 더 걷어가는 개념입니다. |
후생연금보험 厚生年金保険 |
후생연금은 일본의 공적연금제도입니다. 일본의 공적연금은 국민연금과 후생연금으로 구분됩니다. 국민연금은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해야하는 연금(무직이라도)이고, 후생연금은 수입이 있는 사람이라면 가입해야 하는 연금입니다. 그래서 평생 전업주부를 한사람이라도 국민연금은 받을 수 있고, 회사를 다녔던 사람이라면 국민연금+후생연금을 받게 됩니다. |
고용보험 雇用保険 |
근로자가 실업을 하게되면, 실업수당들을 받을 수 있도록 재원을 마련해두는 보험입니다. |
소득세 所得税 |
한국의 소득세와 같습니다. 참고로 위에 언급한 보험료들은 사회보험료라는 항목으로, 소득세에서 세액공제해줍니다. 즉, 사회보험료가 올라도 그만큼 소득세를 깎아주기 때문에, 사회보험료 자체가 테도리에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
주민세 住民税 |
거주구역에 납세하게 되는 주민세입니다. 한국의 주민세보다 훨씬 높은 세율로, 사실상 일본이 세금이 한국보다 높아지게 되는 주원인입니다. |
테도리 계산표
그렇다면 세전 연봉을 기준으로 세후 연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독신 회사원을 기준으로 한 계산이기 때문에 가족 공제등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위는 만엔입니다. 편의를 위해 100만엔 단위마다 굵게 표시해뒀습니다.
개인에 맞춘 자세한 계산은 여기서 가능합니다.
세전 연봉 | 소득세 | 주민세 | 사회보험료 | 테도리 |
300 | 6 | 12 | 43 | 239 |
310 | 6 | 13 | 44 | 247 |
320 | 6 | 13 | 46 | 255 |
330 | 7 | 14 | 48 | 261 |
340 | 7 | 14 | 49 | 270 |
350 | 7 | 15 | 50 | 278 |
360 | 7 | 15 | 52 | 286 |
370 | 8 | 16 | 53 | 293 |
380 | 8 | 17 | 55 | 300 |
390 | 8 | 17 | 56 | 309 |
400 | 9 | 18 | 58 | 315 |
410 | 9 | 19 | 59 | 323 |
420 | 9 | 19 | 60 | 332 |
430 | 10 | 20 | 62 | 338 |
440 | 10 | 21 | 63 | 346 |
450 | 11 | 21 | 65 | 353 |
460 | 11 | 22 | 66 | 361 |
470 | 12 | 23 | 68 | 367 |
480 | 13 | 23 | 69 | 375 |
490 | 13 | 24 | 71 | 382 |
500 | 14 | 25 | 72 | 389 |
510 | 15 | 25 | 73 | 397 |
520 | 15 | 26 | 75 | 404 |
530 | 16 | 27 | 76 | 411 |
540 | 17 | 27 | 78 | 418 |
550 | 17 | 28 | 79 | 426 |
560 | 18 | 29 | 81 | 432 |
570 | 19 | 29 | 82 | 440 |
580 | 19 | 30 | 84 | 447 |
590 | 20 | 31 | 85 | 454 |
600 | 21 | 31 | 86 | 462 |
610 | 22 | 32 | 88 | 468 |
620 | 22 | 32 | 89 | 477 |
630 | 23 | 33 | 91 | 483 |
640 | 24 | 34 | 92 | 490 |
650 | 25 | 34 | 94 | 497 |
660 | 26 | 35 | 95 | 504 |
670 | 28 | 36 | 96 | 510 |
680 | 29 | 37 | 98 | 516 |
690 | 31 | 37 | 99 | 523 |
700 | 32 | 38 | 101 | 529 |
710 | 34 | 39 | 102 | 535 |
720 | 35 | 39 | 104 | 542 |
730 | 37 | 40 | 105 | 548 |
740 | 38 | 41 | 107 | 554 |
750 | 40 | 42 | 108 | 560 |
760 | 41 | 43 | 109 | 567 |
770 | 43 | 43 | 111 | 573 |
780 | 45 | 44 | 112 | 579 |
790 | 46 | 45 | 114 | 585 |
800 | 48 | 46 | 115 | 591 |
810 | 49 | 46 | 117 | 598 |
820 | 51 | 47 | 118 | 604 |
830 | 52 | 48 | 120 | 610 |
840 | 54 | 49 | 121 | 616 |
850 | 55 | 49 | 122 | 624 |
860 | 57 | 50 | 124 | 629 |
870 | 59 | 51 | 125 | 635 |
880 | 61 | 52 | 127 | 640 |
890 | 62 | 53 | 128 | 647 |
900 | 64 | 54 | 130 | 652 |
*소득세가 굉장히 적어보이지만, 아까도 말씀드렸다싶이 사회보험료를 소득세에서 세액공제하기 때문에 작아보이는 겁니다 ^^;
한국과 비교
그럼 한국이랑 비교하면 어느정도 차이날까요?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의 실수령액은 사람인 연봉 계산기를 사용)
- 연봉 500만엔/5000만원
- 일본: 389만엔
- 한국: 4260만원
- 연봉 700만엔/7000만원
- 일본: 529만엔
- 한국: 5760만원
- 연봉 700만엔/7000만원
- 일본: 652만엔
- 한국: 7140만원
편의상 환율을 10대1로 하고 비교하면 확실히 한국의 실수령액이 더 크네요.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일수록 어쩔 수 없지 않나 싶긴합니다.
대신 노후연금은 일반적으로 일본이 더 많이 받긴 합니다. (나중에 이것도 다뤄봐야겠네요)
개인적으로는 연금보다는 개인이 투자로 스스로 노후준비하는게 더 나은거 같긴 한데.. 뭐 정답은 없는거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을, 추가로 궁금하신게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